'배롱나무' 꽃이 왜 '백일홍'으로 불릴까? - 이름의 유래와 함께 백일홍 뜻 알아보기

반응형

제목이미지

 

배롱나무는 여름을 대표하는 아름다운 꽃나무로, 한국의 전통 정원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나무입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배롱나무를 '백일홍'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배롱나무는 백일홍으로 불리게 되었을까요? 이 글에서는 배롱나무와 백일홍 사이의 혼동을 풀어보며, 두 꽃의 차이점을 알아볼게요.

     

    배롱나무의 역사와 특징

    배롱나무

    배롱나무는 한국, 중국,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재배되며, 특히 여름철에 화려한 꽃을 피우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 나무는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주로 사찰이나 전통 정원에 많이 심어져 왔습니다. 그래서 경주에 가니 뜨거운 여름에 붉은 배롱나무가 유난히 많고 돋보였던 기억이 있습니다.

     

    배롱나무는 늦은 봄부터 가을까지 꽃을 피우며, 이 꽃이 오래 피어있기 때문에 '백일홍'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배롱나무는 낙엽성 나무로, 보통 5미터에서 10미터까지 자랍니다. 이 나무는 꾸준히 잘 관리되면 50년에서 100년까지도 살 수 있는 장수 나무입니다. 배롱나무의 꽃은 7월에서 9월 사이에 피며, 보통 개화 기간은 약 3개월 정도로 긴 편입니다. 이 개화 기간이 바로 '백일홍'이라는 이름의 유래이기도 합니다.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가 '백일홍'으로 불리는 이유

    배롱나무백일홍

     

    '백일홍'이라는 이름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서로 다른 식물에 사용됩니다. 하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배롱나무(Lagerstroemia indica), 그리고 다른 하나는 백일홍(Zinnia elegans)입니다.

     

    배롱나무가 백일홍으로 불리는 이유는 배롱나무의 꽃이 여름 내내 피어 있는 것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백일(百日)이라는 말은 '100일 동안 피어있다'라는 의미로, 실제로 배롱나무의 꽃은 오랜 기간 동안 피어 있어 이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또 다른 백일홍(Zinnia)과의 비교

    백일홍

     

    또 다른 백일홍으로 불리는 꽃, 즉 백일홍(Zinnia elegans)은 배롱나무와는 완전히 다른 속의 식물입니다. 백일홍(지니아, Zinnia)은 원산지가 멕시코인 국화과에 속하며, 주로 일 년생 식물로 여름부터 가을까지 꽃이 핍니다.

    백일홍

     

    배롱나무와는 달리 배롱꽃(Zinnia)은 다양한 색깔의 꽃으로 피며, 작은 꽃들이 무리를 지어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또한, 화단이나 꽃꽂이용으로 많이 사용됩니다.

     

    배롱나무와 Zinnia의 가장 큰 차이점은 나무와 초본 식물이라는 점입니다. 배롱나무는 오래 자라는 나무로, 시간이 지나면서 키가 크고 잎이 무성해지지만, 백일홍(Zinnia)은 한해살이 식물로 계절이 지나면 다시 심어야 합니다. Zinnia는 짧은 수명을 가지고 있지만, 배롱나무는 꾸준히 관리하면 오랜 세월 동안 정원을 장식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배롱나무와 백일홍이라는 두 이름은 같은 꽃을 지칭하는 경우도 있지만, 서로 다른 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배롱나무는 그 꽃이 오랜 기간 피어 있어 백일홍이라는 이름이 붙었으며, Zinnia 역시 비슷한 이유로 같은 이름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배롱나무와 백일홍에 대한 혼동이 풀리셨기를 바랍니다. 두 꽃 모두 여름을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식물입니다. 🌸

     

    관련글 - 또다른 대표적인 여름꽃 '능소화'

     

    '능소화'의 개화시기와 특징, 꽃말

    능소화, 이 꽃은 여름철에 크고 화려한 주황색 꽃을 피우는 덩굴식물이에요. 한국에서는 주로 더워지기 시작하면 담벼락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꽃입니다. 능소화에 대해 알아볼게요. " data-ke-type=

    sook13.tistory.com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